금융에 대한 모든 것

금리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받아 금리가 결정되고, 또한 금리를 매개로 해서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금리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금리는 돈의 사용가치를 나타내는데, 원금에 지급되는 기간당 이자를 비율(%)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금리는 이자율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데, '금리 부담이 크다'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이자율이 아닌 이자금액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돈을 빌려 쓸 때 내는 임대료라고 금리를 이해해도 좋습니다. 남의 돈을 빌려쓰면 원금에 이자를 계산해서 원금과 함께 갚아야 합니다. 돈을 빌리는 대가를 주는 것이 금리이고, 즉 돈의 사용료다. 여유자금을 쓰지 않고 참아주는 것을 보상하는 것과 돈을 빌려주는 기간 동안 물가가 올라 돈의 가치가 떨어져 손해 볼 위험성을 보상하는 것, 돈을 떼일 위험에 대한 보상이 합해진 것이 바로 금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돈을 오랫동안 빌려줄수록, 못 돌려받을 위험성이 있는 곳에 돈을 빌려줄수록 금리는 높아지게 됩니다. 신용도가 좋은 사람들이 돈을 빌릴 수 있는 은행 대출금리가,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이 돈을 빌릴 수 있는 제2금융권 대출금리보다 낮은 이유입니다.

 

금리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일반적으로 상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정해지게 됩니다. 금리는 돈을 빌리는 자금의 사용료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금리도 자금의 공급과 수요에 따라 결정되며, 돈의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금리는 오르고, 자금의 공급이 수요보다 많으면 금리는 하락하게 됩니다.

경기 전망이 좋아 기업투자 수요가 활발해지면 자금의 수요가 많아질 것이고, 수출이 잘 되어 많은 외화가 들어와 원화로 환전되면 자금의 공급이 늘어날 것이다. 정부가 채권을 매입해 시중에 돈을 풀면 통화 공급이 많아져 금리는 내려갈 것이고, 물가가 상승세일 때는 금리가 더 높아져야 사람들이 저축을 하게 됩니다.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 통화량을 공급하거나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될 경우 역시 통화 공급이 확대되는 경우입니다.

 

대한민국 금융기관의 금리 표시 방법은 모두 연리와 세전 금리 표시입니다. 금리 앞에 '연'이란 글자가 있으며, 이것은 1년분의 이자 총액을 원금으로 나눈 것입니다. 1천만 원을 연이율 1.9%인 정기예금에 3년간 가입한다면 이자는 57만 원이고, 세금 8만 7,780원을 제외한(15.4% 세금을 원천징수) 10,482,220원을 3년 후에 받게 됩니다.

 

 

 

금리의 종류

단기금리와 장기금리

단기금리는 1년 미만, 장기금리는 1년 이상 금리를 말합니다. 대체로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금리 수준이 높습니다. 소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용을 포기하는 대신에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재정위기나 금융위기가 발생하게 되면 단기자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단기금리가 더 높은 '금리 역전 현상'도 발생합니다. 이런 이유로 장단기 금리 차이는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하나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기준금리(정책금리)는 금융정책 당국이 시장금리 변동을 유도하기 위해 금융통화운용위원회에서 결정하는 금리입니다. 금융정책당국에서 기준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하면 시장금리도 동반해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기 불황 국면에서는 기준금리를 인하해 시장금리 하락을 유도하고, 경기 과열국면에서는 기준금리를 인상해 시장금리의 상승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명목금리는 표시되는 금리이고,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것이 실질금리입니다. 자산시장에서는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의 정확한 계산을 위해 명목금리보다 물가상승률을 공제한 실질금리가 더 중요합니다. 명목 금리보다 물가상승률이 높다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가 되고 사실상 손해를 보기 때문입니다.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고정금리는 약속한 기간 동안 시중금리가 변해도 처음 설정된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변동금리는 약속한 기간 동안 일정한 주기로 시중금리에 따라 이자율이 계속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리 상승기에 예금의 경우 일반적으로 만기 기간을 짧게 해서 재예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입 시점에 단기와 장기 예금금리차와 향후 금리 상승폭을 예상 비교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금리 상승기에 대출금리 결정 시 고정금리(5년마다 변동되며 5년간 고정)가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출 취급 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차이폭과 향후 금리 상승 예상폭을 비교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율 적용방법  (0) 2021.01.09
IRP계좌란 총정리  (2) 2020.12.30
넷플릭스 영화 추천 모음  (4) 2020.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