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에 대한 모든 것

무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무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좋은 영향일까 나쁜 영향일까? 무상증자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무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자.

 

무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호재

 

무상증자는 주주들에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는 것이다. 유상증자처럼 신주가 발행되니 자본금은 증가하는데 공짜로 주식이 발행되니 실제로 회사에는 자금이 들어오지 않는다. 돈이 안 들어오는데 자본금은 어떻게 늘어나는 것일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자산의 구성을 알아야 한다. 자산은 자본총액과 부채총액으로 나누어지고, 자본총액(자기 자본)은 주주들에게 주식을 발행하고 받은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누어진다.

 

잉여금은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으로 구성된다. 이익잉여금은 자본금을 바탕으로 사업을 해 이익을 낸 후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고 남은 돈을 말하고 자본잉여금은 주식을 발행하면서 얻게 된 이익, 주식 발행 초과금을 말한다. 

 

주식 발행 초과금은 유상증자 과정에서 발생한다. 신주의 주당 발행가액이 액면금액을 초과할 경우 초과한 만큼의 금액이 주식 발행 초과금이 된다. 액면가액이 5천 원인 주식이 주당 7천 원에 발행되었다면 차익인 2천 원에 신규로 발행한 주식 수를 곱한 만큼 주식 발행 초과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무상증자를 하게 되면 이러한 잉여금이 자본금으로 이동하면서 자본금이 늘어나고 잉여금이 줄어들게 된다. 그러니 무상증자는 아무나 할 수 없고 이익잉여금, 자본잉여금이 있는 회사들만 할 수 있는 것이다.

 

무상증자도 유상증자처럼 주식 수를 늘리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주당 가치를 떨어뜨린다. 그러나 회사가 무상증자를 하는 것은 주주환원 정책으로 이익의 일부를 주주들에게 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자에겐 호재다.

 

무상감자는 악재

 

무상감자는 주주들에게 어떤 보상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주들이 갖고 있는 주식을 그냥 없애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대 1로 무상감자가 일어난다고 하면 10주를 보유한 주주는 주식이 1주로 줄어들게 된다.

 

1만 원짜리 주식 10주를 보유해 10만 원어치 주식이 있었다면 하루아침에 주식 수가 1주로 줄어들면서 그 가치도 1만 원으로 감소한다.

 

무상감자는 자본잠식이 발생한 회사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자본잠식은 자본총액이 자본금보다 적은 상태로 주주들에게 주식을 발행한 후 얻은 자본금을 까먹었단 얘기다.

 

회사가 몇 년째 적자가 나게 되면 이익잉여금 대신 결손금이 발생하게 된다. 그렇게 결손금이 쌓이고 쌓이면 자본잠식 상태가 된다. 자본잠식은 코스피, 코스닥 상장사 관계없이 상장폐지 사유다. 그러니 회사는 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다.

 

무상감자를 할 정도의 회사라면 이미 그 회사의 자본총액 구성이 자본금과 결손금으로 나뉘었을 것이다. 무상감자는 자본금과 결손금을 상계해 자본금을 줄이게 된다. 자본금이 200억 원이고 결손금이 70억 원이며 자본잉여금이 30억 원이라고 하면, 자본총액은 160억 원이 되어 자본총액이 자본금보다 적은 자본잠식 상태가 된다. 

 

이런 상황에서 결손금 70억 원을 줄이기 위해 무상감자를 하게 되면 결손금 70억 원만큼 주식이 없어진다. 따라서 결손금은 0원, 자본금은 130억 원, 자본잉여금은 30억 원이 된다.

 

자본총액은 160억 원으로 그 전과 변함이 없으나 자본총액은 자본금보다 많아져 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난다. 

 

자본잠식은 경영진이 회사를 제대로 경영하지 못해 적자가 쌓여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주주가 책임을 진다는 차원에서 무상감자를 할 때 최대주주의 주식 수를 일반 주주에 비해 더 많이 소각하는 '차등 감자'를 진행하기도 한다. 어쨌든 무상감자는 명백한 주가 하락 요인이다.

 

반응형